이전 포스팅 - n년차 개발자가 느끼는 chatGPT
n년차 개발자가 느끼는 chatGPT
요즘 chatGPT가 이슈이다. 주위에서 비개발자나 교수님 그리고 유튜브와 수많은 기사들을 보면 AI가 코딩을 해서 개발자를 '대체'할 것이다. AI에게 물어보면 만물의 답을 알려주므로 교육자가 '필
box-making.tistory.com
AI가 코딩을 해서 개발자를 '대체'할 것이다.
AI에게 물어보면 만물의 답을 알려주므로 교육자가 '필요 없어'질 것이다.
AI를 이용한 '신사업'을 해야 성공한다.
1편에서 언급은 했으나 빠트린 내용인 'AI를 이용한 '신사업'을 해야 성공한다.' 이다.
최근 AI를 이용한 '신사업'을 해야 성공한다는 말을 주위에서 정말 많이 듣는다.
이 말 자체가 맞다 틀리다를 떠나서, 우리 컴덕들 입장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과연 AI를 이용한 서비스가 나온다고 해서 무엇이 달라질 것인가..?
AI가 주체가 된다면 그 서비스의 정체성은 무엇인가..?
그저 신기술을 사용하면 개발 잘하는 개발자 인가..?
신기술을 바로 도입하면 앞서가며 성공하는 기업이 되는가..?
등등....
본인은 AI에 집착하는 어른들이 매우 안타깝다고 생각한다.
주객전도
어떤 서비스가 있다고 해보자, AI를 접목시켜서 서비스의 질이 향상된다면 좋겠지만
보통은 AI서비스를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려고 한다.
과연 우리는 서비스를 위해 AI를 활용하는 것인가, AI를 사용하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인가.
굳이굳이AI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서비스 자체에 힘을 실어주셨으면 합니다 대표님덜
728x90
반응형
'Thin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과 spring boot의 차이점 (실무자 개념편) (0) | 2023.08.17 |
---|---|
chatGPT에게 물어보는 비즈니스용어 OEM과 ODM (0) | 2023.05.24 |
n년차 개발자가 느끼는 chatGPT (1) | 2023.05.03 |
이제는 드물게 사용하는 헝가리안 표기법 (0) | 2023.05.02 |
chatGPT에게 물어보는 Torrent란? (1) | 2023.04.28 |
chatGPT에게 물어보는 개발용어 As-is와 To-be (0) | 2023.04.25 |
AI를 활용한 서비스 추천 사이트 (0) | 2023.04.23 |
argument와 parameter의 차이 (0) | 2023.04.16 |